습작 및 기고문들 (67) 썸네일형 리스트형 <Ugly Laws>, Susan M. Schweik. Part 1. 번역⑤ 시카고에서 장애를 가진 상태로 체포된 사람들이 단순한 구걸로 체포된 것인지, 아니면 부랑자여서 체포된 것인지 구별하기 어렵다는 점은 절망적이면서도, 중요하게 조명해야 할 부분이기도 하다. 겉보기에는 뚜렷하게 구별되지만, 때로는 중첩되는 두 집단, 즉 “장애가 없는” 거지와 “병들고, 기형적이고, 불구인” 사람들 간의 복잡한 관계는 Ugly Law의 출현과 큰 관련이 있다. 구걸(Panhandling)은 다음과 같은 해석의 위기를 야기했다. 어떻게 하면 구걸에 성공하기 위해 거지의 페르소나를 만들어내는 ‘건강한 거지’를 구분할 수 있느냐 하는 것이다. 구걸에 성공하기 위해 자신만의 서사를 만들어내는 장애인들이 등장했다는 점은 의미심장하다. 이러한 딜레마는 제5장에서 설명할 것인데, 이는 장애의 시각적 수행.. <Ugly Laws>, Susan M. Schweik. Part 1. 번역④ 뉴올리언스 NEW ORLEANS 샌프란시스코와 시카고 모두 Ugly Law라고 부르기에 적절하면서도 독특한 문구를 가진 특정 조례를 제정했다. 하지만 가끔은 내가 Ugly Law라고 부르는 것과 분명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다른 표현을 사용하거나, 다소 다른 문맥 안에서 이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뉴올리언스의 버전이 그 좋은 예이다. 피비 의원이 염두에 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으려는 의도는 분명하지만, Ugly Law와는 다른 표현을 사용하였다. 피비의 시카고 법은 단순히 이론적으로 질병이나 기형을 가지거나 장애를 가진 사람들의 “노출”을 금지하고 있다. 그것은 시카고 법전에서 별도의 공간을 차지했고, 헤드라인에서도 ‘보기 흉함’에 대하여 분명히 주의를 환기하고 있었다. 샌프란시스코 법의 헤드라인.. 영화 <패스트 라이브즈> 노트 몰이해는 사람들의 인연을 어디까지 밀어붙이게 될까. 영화 는 한 때 한 시절을 공유했던 두 친구가 자신의 감정을 서로 다른 방식으로 접하고, 결국 자신의 방식으로 이해하게 되는 과정을 다룬다. 두 사람의 이야기에는 서로 겹치지 못하는 두 가지의 서사가 진행된다. 이 두 가지의 서사, 두 가지의 감정이 얽히고설키고, 낯선 이방의 무드가 합쳐져 영화의 특수한 분위기가 발산된다. 여기에서는 투박하게 두 가지의 서사를 정리하고자 한다. ① 해성 해성은 12살의 어린 나이에 성숙한 정신을 가졌다. 울보 나영을 매일같이 위로하며 마음으로 그를 사랑한다. 하지만 해성 그 스스로도 자신의 마음을 잘 이해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다만 나영이 친구들에게 과시하며 하는 이야기를 엿들으면서, 나영이 자신과의 관계보다도.. <Ugly Laws>, Susan M. Schweik. Part 1. 번역③ 시카고CHICAGO Ugly law는 샌프란시스코가 경험한 것처럼 폭발적으로 과잉 성장을 하지 않은 도시에서 싹틀 수 있다. 1880년, 비슷한 조례를 채택하려는 또 다른 포스트 골드러시 마을인 오리건주 포틀랜드에서도 역시 18,000명 미만의 인구가 있었다. 그러나 도시 혼잡의 스트레스 아래에서도, 특히 미드웨스트의 시의회는 보기 흉한 거지 조례를 특별히 매력적으로 여겼다는 사실이 입증되었다. 시카고가 그 대표적인 예이다. Ugly Law는 장애운동가들이 흔히 인용하는 전설적인 해인 1911년이 아니라, 1881년의 시법에서 등장한다. 타이밍이 중요하다. 장 루이 코몰리 Jean-Louis Comollo가 썼듯이, “19세기 후반은 시각적인 것이 광란하는 시기이다.” 19세기 후반 미국에서는 “.. <Ugly Laws>, Susan M. Schweik. Part 1. 번역② 병약한 사람들과 신체적으로 불편한 사람들만이 Ugly Law에 해당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오히려 그렇지 않다. 리빙스턴Livingston이 말하는 “장애, 만성 질환, 노화의 중복”에 포함되는 신체적으로 연약한 장애인들은 감독위원회의 정의에 따르면 "볼썽사나운 거지Unsightly Beggars"에 속한다. 샌프란시스코 법령 2절에서 약자는 무력하다고 기록되어 있다. 제3조에서는 약자를 “질병, 손상, 훼손, 장애 또는 어떤 식으로든 기형인 사람들...”이라고 명명하는데, 보기 흉한 사람들도 여기에 해당한다. 오히려 병약하거나 몸이 불편한 사람들은 면제가 필요한 경우에 명령에 의해 면제될 수 있다. 그와 달리 보기에 혐오스러운 사람들은 법을 전폭적으로 적용하여 범죄자에 해당하게 만든다. Ugly.. <Ugly Laws>, Susan M. Schweik. Part 1. 번역① Part 1. The UGLY LAWS의 출현 장애로 인한 실제 신체적 한계와 신체 장애인의 이동가능성은 거의 관계가 없다. 오히려 신체 장애인의 이동가능성은 대중의 태도와 관련된 고려사항과 더 밀접하게 관계되는데, 대중의 태도는 신체 장애인에 대한 오해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많다. 대중의 인식은 장애인에게 물리적 한계가 있을 것이라는 상상을 포함한다. 장애인들이 위해를 받지 않도록 함으로써 달성해야 할 안전에 대한 대중의 배려, 보호 관리 및 보호 보안에 대한 대중의 감정, 장애인들이 왜 해외에 나가기를 원하는지에 대한 대중의 의구심, 그들의 모습을 보는 것에 대한 대중의 혐오감과 그들의 곤경을 눈에 띄게 상기하는 것 등등, 대중이라 할 수 있는 우리의 목적을 위해 인간의 머리와 심장에 불명예스러운.. <노매드랜드>, 르포 예술의 새로운 방식인가 이 글은 저널리스트 제시카 브루더(Jessica Bruder) 원작 『노마드랜드』와 클로이 자오 감독의 를 텍스트로 한다. 제시카 브루더가 에 기고한 글에서 시작된 이 이야기는 '논픽션 기행문학'으로 분류된다. 이 글을 기존의 개념 중 르포문학으로 볼 수 있다면 이 글이 영화화되면서 장르적으로 어떤 변화를 드러내는지를 적어보려고 한다. 영화 의 주인공인 펀(Fern)은 US 엠파이어의 파산이라는 사회적 이유로 배척되며, 또한 남편의 죽음이라는 내적·개인적 이유로 사회에서 배척된다. 가족의 상실로 인한 자발적 배척에 가깝다. 이 둘 중 영화는 후자의 영역을 바탕으로 영화적 주제를 이끌어간다. 유목생활의 주된 동기, 방황과 깨달음 안에서 영화가 말하고자 하는 것은 삶의 회복에 있다. 이를 위해서는 내.. 돌봄의 윤리학 2023년 올해의 작가상 후보 중 이강승 작가의 작품을 흥미롭게 보았다. 올해의 작가상 전시에서는 돌봄의 역사를 아카이브 한 작품들과 영상 작품들을 공개했다. 먼저 자신의 물건이 아닌, 타인의 물건을 수집하여 배치하고 배열함으로써 그의 기억을 정립하고 재단한다. 이강승 작가는 "국경을 가로지르는 퀴어의 역사, 여러 가지 소수자의 역사, 그리고 그것들을 이 미술을 통해서 어떻게 재조명하고 함께 생각해볼 수 있는가를 생각하면서 작업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1980-90년대 미국 사회에서 벌어진 에이즈 에피데믹과 현대를 연결함으로써, '돌봄'의 의미를 생생하게 한다. 프로젝트 제목인 는 미국의 시인인 파멜라 스니드의 작품에서 인용한 것으로, 파멜라 스니드 자신이 경험했던 뉴욕의 에이즈 에피데믹의 사례를.. 이전 1 2 3 4 ··· 9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