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습작 및 기고문들/<Ugly Laws> 번역 연재

<Ugly Laws>, Susan M. Schweik. Part 1. 번역④

728x90

 

뉴올리언스 NEW ORLEANS

 
  샌프란시스코와 시카고 모두 Ugly Law라고 부르기에 적절하면서도 독특한 문구를 가진 특정 조례를 제정했다. 하지만 가끔은 내가 Ugly Law라고 부르는 것과 분명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다른 표현을 사용하거나, 다소 다른 문맥 안에서 이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뉴올리언스의 버전이 그 좋은 예이다. 피비 의원이 염두에 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으려는 의도는 분명하지만, Ugly Law와는 다른 표현을 사용하였다. 피비의 시카고 법은 단순히 이론적으로 질병이나 기형을 가지거나 장애를 가진 사람들의 “노출”을 금지하고 있다. 그것은 시카고 법전에서 별도의 공간을 차지했고, 헤드라인에서도 ‘보기 흉함’에 대하여 분명히 주의를 환기하고 있었다. 샌프란시스코 법의 헤드라인에서는 구걸에 대해 언급하면서도 동시에 “특정 인물”의 공공장소에서의 출현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반면에 뉴올리언스의 법은 구걸에 초점을 맞추면서 장애인의 신체에 대한 관심은 정교하게 숨기고 있었다.
 
  1879년에 통과된 뉴올리언스 법령은 “게으르고 난동을 부리는 사람(무질서한 사람), 불량배와 방랑자라는 각각의 범죄를 만들고, 정의하고, 처벌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리고 이 조례에 반하는 범법자와 이 조례에 의해 부과된 의무를 태만히 한 경찰관 및 경찰대원에 대한 약식 재판과 처벌을 제공했다”. 이미 우리는 앞에서 확인한 정의definition 내려짐과 동시에 발생하는 처벌, 경찰의 무관심 등에서 Ugly Law에서 작용하는 불안한 역학의 일부를 발견할 수 있다. 하지만 “불한당과 방랑자”에 대한 표현은 서로 다르게 기재된다. 모든 종류의 행동은 누군가를 게으르고 무질서한 불량배와 방랑자의 부류에 들 수 있다. 그중 하나는 “해외를 떠돌며 구호품을 얻고 모으기 위해 상처나 기형을 노출하려 노력하는 것”이었다.
 
  내가 아는 한, 이 상처와 관련된 언어는 뉴올리언스 특유의 것으로, 여전히 전쟁의 여파와 직접적으로 싸우고 있는 “상처받은” 도시 그 자체를 표현하고 있다. 연방군은 불과 2년 전에 루이지애나에서 사라졌다. 그러나 “노출”과 “변형”을 나타내는 언어는 "볼썽 사나운 거지 법령"의 어휘와 분명히 관련이 있다. 그리고 모든 형태의 Ugly Law를 뒷받침하는 공포와 혐오의 정치는 장애와 빈곤의 교차점에 놓임으로써, 인간적 차이를 억제하고 제도화하려는 규범적인 시선을 다시금 자극한다. 뉴올리언스에서 일어난 일은 1880년대와 1890년에 시카고를 비롯한 여러 도시에 전국적으로 Ugly Law가 확산되는 몇 가지 주요한 측면을 조명하고 있다.
 
  첫째, 뉴올리언스는 Ugly Law를 통과시킨 시카고 및 자매 도시들과 혐오의 문화를 널리 공유했다. 특히 뉴올리언스의 경우 개방적이었다. 1883년 <뉴욕 타임즈>는 <뉴올리언스 타임스-민주당>의 보도를 재인쇄하여 부정행위와 방랑에 관한 법령의 “상처와 기형” 조항의 시행이 강화할 것은 지적하였다. 기사는 “길거리 구걸은 자인하는 바와 같이 큰 골칫거리이지만 뉴올리언스에서 그랬던 것처럼 기형, 질병, 상처가 노출될 때, 그것은 견딜 수 없는 것이 된다. … 지역 사회 전체가 이 불구가 된 거지들이 몇 푼의 돈을 벌 수 있다는 것에 대해 역겹게 생각하고 충격을 받는다”라고 적고 있다. 2년 후 늘 그렇듯이 견딜 수 없는 사람(unen)durable이 다시 등장했을 때, <타임스-민주당 Time-Democrat>은 “우리 거리에 늘어가는 거지들의 수는 이미 성가신 존재로 성장했다. 암의 흔적이 깊이 남아 있는 한 노파의 얼굴은 혐오스러운 광경이다”라고 적었다.
 
  둘째, 보기 흉한 거지 조례가 출현하는 순간, 뉴올리언스는 같은 처지에 놓인 도시들과 동정심을 바탕으로 한 개혁 문화를 공유했다. 사실, 역사적으로 동정심과 혐오가 동등하게 결합된 것이 Ugly Law를 ‘만들어 낸 것’이라 볼 수 있다. <타임스-민주당>은 얼굴에 암이 있는 그 여성을 어떻게 해야 할지 알고 있었다. “그녀는 병원으로 보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병원보다는 뉴올리언스의 “상처와 기형” 조항의 활성화를 촉진한 것은 샌프란시스코에 있는 암스하우스(빈민구제소)의 존재였다.
 
  1883년, 뉴욕타임즈가 뉴올리언스의 혐오스러운 거지들에 대한 강력한 탄압 소식은 대부분 생략됐다. 특히 도시 내에서 암스하우스가 재개장되기 몇 주 전에 있었던 구세군 자선냄비에 대한 논의에서 한 경찰의 조치를 다룬 뉴올리언스 보도는 대부분 생략되었던 것이다. 그렇다면 어떤 내용이 보도에 실리게 되었을까.
“셰익스피어의 암스하우스를 마침내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라고 뉴올리언스의 지역 기사가 작성되었다. 기사에 따르면 뉴올리언스 독자들에게 “수많은 세월 동안 이 도시를 감염시켰던 수많은 부랑자와 거지들”이 체포되었다고 설명하면서 “길에서 구걸하는 시각장애인, 절뚝발이, 그리고 홀트(the halt)들이 ‘잘 보살핌을 받을 수 있도록’ 구호소로 보내졌다”라고 언급했다. “잘 보살핌을 받는다”는 1880년대 시카고나 링컨, 덴버와 같은 지역에서 Ugly Law를 지칭하는 정확한 표현이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표현에서 볼 수 있다. “이 조항을 위반한 사람이 유죄 판결을 받은 이후에, 그것이 적절하고 정당하다고 여겨진다면 집행이 유예될 수 있다. 그러면 그러한 사람은 카운티 빈민가로 보내질 때까지 ‘잘 보살핌을 받을 수 있는’ 경찰서에 구금될 수 있다.” 보기 흉한 거지에 대한 과제는 잘 보살피는 것과 동시에 혐오감을 유발하는 것이 시초였다.
 
  뉴올리언스의 또 다른 지역 신문에는 뉴올리언스의 종합적인 보고서를 실었다. “불구자들을 몰아넣다(Corralling the Cripples)”라는 제목의 기사였다. 이 기사는 어떻게 “전문적인 거지들의 첫 번째 무리가 자선 마차에 실려 셰익스피어 암스하우스로 옮겨졌는지”를 묘사했다. 장기적으로 볼 때 보살핌은 혐오감보다는 덜 필요한 요소인 것으로 밝혀졌다. 10년이 지난 후에는 “잘(well)”과 “보살핌(care)”이라는 단어는 법령의 공식적인 명칭으로부터 떨어져 나왔다. 그러나 새로운 기관(암스하우스)의 존재는 Ugly Law의 추진력과 공공기반시설의 중요한 일부분으로서 잔존했다.
 
  뉴올리언스에 새로운 암스하우스를 건설하라는 압력은 부분적으로는 노인들과 장애인들로부터 발생하였다. 1880년대에 시장 조세프 셰익스피어가 당선된 직후, 한 무리의 노인들이 시청에 와서 이미 넘쳐나는 노인과 병약자를 위한 집에 넣어달라고 간청했다. 그러나 그들은 더 이상 자리가 없다는 이야기만을 듣게 되었다. 1881년 7월, 한 시각장애인은 배턴루지의 시설에 그를 위한 자리를 마련할 것을 요구하며 시청 복도에서 숙식하는 최초의 시위를 벌였다. 1882년 4월 <데일리 피카윤Daily Picayune>은 “가난에 시달리는 사람들은 처참한 처지에 있는 사람들에게 원조를 요청하는 애처로운 탄원서를 거의 매일 시장에게 제출한다. 바로 어제도 필자는 크림 전쟁과 미국 남북 전쟁에 참전했던 노병이 거리에서 노래를 불러도 되는지 허락을 구하러 오는 것을 보았다. 그는 젊은 시절의 무공을 노래하여 생계를 유지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고 보도했다. 1883년 8월 중순에야 암스하우스가 개장하였다. 신임 시장과 경찰국장의 관할 하에 거리 위반과 관련된 일반적인 단속들을 시작했다. 그리고 단속이 시작된 지 한 달도 채 되지 않아 신문에서는 “장애인 단속(불구자를 몰아넣기, corralling of cripples)”이라고 칭하기 시작했다.
 
  우리는 1883년 9월 뉴올리언스에서 조례5046을 위반한 혐의로 기소된 9명의 이름(적어도 그들이 붙인 이름), 즉 “상처받고 기형적인” 품종의 “불량자와 방랑자”로 기소되어 새로운 농장으로 보내진 사람들의 이름을 알게 되었다. 세 명의 여성과 여섯 명의 남성의 이름은 찰스 렐린Charles Rellin, 존 코틸리온John Cotillion, 루이자 에드워즈Louisa Edwards, 존 캠벨John Campbell, 캐리 아키Carrie Arkey, 리처드 윌슨Richard Wilson, 제임스 데이비James Davey, 앤드루 로던Andrew Loudo, 로지나 샤도네Rosina Sardonet이다. 우리는 그들에게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그들이 암스하우스에 도착한 후에 그들이 “잘 돌봐졌다”고 느꼈는지는 알 수 없다. 다만 우리는 암스하우스가 곧 자금 기반을 잃고 황폐해졌다는 사실은 알 수 있다.
 
  1929년 당시의 상태와 범위를 기록한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찾을 수 있었다. 1883년 이후의 시기에 대하여 한 학자는 “수용자들은 꽤 만족하는 것 같다. 그들은 결국 암스하우스가 그들의 피난처가 되었다고 느낀다. 그들은 가난의 고통으로부터 보호받고 있다. 그들은 그들이 원하는 대로 자유롭게 오갈 수 있다”고 기록하고 있다. 하지만 내부 기록을 보면 적어도 1903년에는 수감자들이 일주일에 한 번 이상 구치소를 벗어날 수 없었고, 관리위원회는 후기부터 특히 시각장애인에 대한 방임 혐의를 강하게 제기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또한 셰익스피어 암스하우스 안에서 극도로 높은 사망률이 발생했다는 사실 역시 알 수 있다.
 
  보살핌과 혐오에 대한 담론과 함께, 뉴올리언스는 19세기 후반에 Ugly Law를 만들었던 도시들과 유동적인 존재에 대한 집착을 공유한다. 여기에서는 “배가본드vagabonds”라고 부르지만, 다른 곳에서는 “트램프tramps”라고 부름으로써 말이다. 팀 크레스웰Tim Cresswell은 민족적 부랑자 공포(부랑자 자신을 포함하여)는 1880년대와 1890년대에 볼썽사나운 거지 조례의 가속화와 동시에 “만들어졌다made up”고 주장했다. 그 두 존재는 깊이 뒤얽혀있다. 뉴올리언스에서는 단순히 “구제금을 얻고 모으기 위해 기형의 상처를 노출하려고 ‘멀리 돌아다니는 것'” 때문에 체포될 수 없었다. “멀다”의 범위가 얼마나 되는지는 불분명하다. 그들이 “눈이 멀고, 절뚝거리고, 멈추기” 때문에 몇 평방 야드를 돌아다녔을 수도 있다.
 
  시카고와 뉴올리언스를 비교함으로써, 뉴올리언스가 처음으로 고안했던 Ugly Law가 어떤 방식으로 그 추악한 대응물을 선명하게 비추고 있는지를 알 수 있다. (1906년 지진으로 샌프란시스코의 도시 기록이 대부분 파괴되었기 때문에 해당 도시에 대한 동등한 비교 대상이 없다.) 1883년 뉴올리언스에서는 범죄로 체포된 상처 입은 불한당과 방랑자들의 이름을 찾을 수 있다. 반면 시카고에서는 그러한 기록을 찾을 수 없다. 시카고에서는 Ugly Law를 단순히 “거지 추방 명령”으로 부름으로써 장애와 관련된 문제들을 생략하였기 때문에, 해당 법 시행을 추적하는 데에 어려움을 야기할 가능성이 있다. 1880년부터 1885년까지의 시카고 경찰 총감의 시장에 대한 연례 보고서는 해당 연도에 이루어진 모든 체포를 기록하고 분류한다. 그 보고서에서는 '추함'을 근거로 한 체포나 과태료에 대한 명확한 언급을 찾을 수 없다. 그러나 유랑자에 대한 공포감에 의한 맥락에서 방랑자 체포가 많이 이루어졌다. 케일럽 푸트(Caleb Foote)가 1956년에 발표한 "유랑자형 법(Vagrancy Type Law)"에 대한 리뷰에서 지적한 대로, 도시에서 유랑자로 정의된 사람들의 "청소" 또는 "정리"는 종종 "희생자들의 외모가 매력적이지 않았다"는 이유로 정당화되었다.
 
  물론 시카고에서는 “다양한 다른 조례위반(violations of various other ordinances)”이라는 도움이 되지 않는 일종의 대표적인 범주 아래에 많은 체포 사례가 있었다. 명백한 "구걸 조례 위반"으로 벌어진 체포는 극적으로 증가했다. 1882년에 1건, 1883년에 2건이었으나, 1884년에 25건으로 늘어났기 때문이다. 그러나 Ugly Law가 존재하기 전인 1880년에도 동일한 폭력행위에 대한 체포가 한 차례 발생한 바 있으므로, 문제가 된 조례에 따른 강제적 집행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 1880년에 의사가 만난 환자는 한 명이었으나, 1885년에는 40명이 되었다. 이렇듯 5년간 County Agent1)에 의뢰되어 County 병원에 보내진 수가 급격히 증가했다는 것은 매우 시사적이다. 쿡 카운티가 가난한 집에 대한 회계와 그들의 망명에 대한 회계를 분리한 것은 이 순간에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뉴올리언스의 경우와 같이, "취약성(infirm)"의 다양성이 보다 구체적으로 부각되면서, 더 많은 제도화 메커니즘을 이용할 수 있게 된 것이다.
 
==========
 
1) 농업 및 가정 경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연방 정부와 주 정부가 공동으로 고용한 컨설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