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습작 및 기고문들

(54)
칸트 철학에서의 행복과 윤리학의 관계 세대를 막론하고 모든 인간은 행복한 삶의 영위에 대해 고민한다. 조금 더 나은 삶, 가치 있는 삶, 편안한 삶 등등 자신이 추구하는 삶의 방식에 대해 고민하고, 그에 걸맞은 형태로 삶을 주조하기를 원한다. 행복을 온전히 자신의 것으로 영위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에 가까울 정도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행복’은 하나의 ‘이상(理想)’으로서 모든 인간에게 존재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기에는 몇 가지 어려움이 있다. 우선 ‘행복’이라는 것이 인간에게 보편적으로 존재하는 일관된 가치가 아니라는 점이다. 모든 사람에게 행복은 다른 모습으로 존재한다. 그렇기 때문에 가치 있는 것이기도 하지만, 행복을 추구하는 방법이 보편적일 수 없기 때문에 한 가지로 정의하기 어렵다. 둘째로 말 그대로 사람들에게 행복..
헤드윅 자료 존 카메론 밋첼 , , 2002. 1. 음악 영화 은 음악 영화이다. 음악영화로 , , , , , , 등등이 잘 알려져 있다. 음악영화는 대중들에게 줄거리나 감정을 쉽게 전달할 뿐만 아니라 좋은 음악을 통해 좋은 기억을 남게 해준다는 점에서 인기가 많다. 약 2시간 음악을 주로 들어야하기 때문에 지루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가급적 오랫동안 들을 수 있는 대중적인 음악을 선곡하는 것이 보통이다. 또한 유명한 음악 영화 중 하나이다. 감독인 존 카메론 밋첼은 을 2년 동안 브로드웨이에서 크게 성공시킨 바 있었고, 그 인기를 바탕으로 영화 을 제작하기에 이르렀다. 감독은 음악의 전달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애니메이션이나 스토리텔링에 많은 공을 들여 영화를 완성하였다. 음악 영화의 특징은 크게 다섯 가지..
난민 관련 지젝의 기사 요약 We Can’t Address the EU Refugee Crisis Without Confronting Global Capitalism, Slavoj Zizek (기사 원문 : http://inthesetimes.com/article/18385/slavoj-zizek-european-refugee-crisis-and-global-capitalism?utm_content=bufferc557c&utm_medium=social&utm_source=twitter.com&utm_campaign=buffer) 지젝이 한 말을 제대로 이해한 건진 모르겠지만, 대략 네가지로 요약할 수 있는 건가? ①유럽은 대규모 난민사태를 책임지려는 태도를 가져야 한다. 그것이 자본주의의 수혜자였던(식민지시대를 거쳐 부를 축적할 수..
<인형의 집> 발제 1. 작가 소개 - 헨릭 입센 노르웨이의 극작가. 노르웨이 남부의 항구 시엔에서 태어났다. 베르겐 · 크리스티나 등지에서 극장감독으로 일하면서 작가로서 기초를 확고히 했다. 이 시대가 그의 제1기로 수업시대 내지 낭만주의 시대이다.제2기는 이탈리아와 독일 여행을 전후하여 낭만주의에서 탈피하여 사상극을 완성한 시대이다. 〈사랑의 희극〉(1862)으로 시작하여 이상사회 건설을 목표로 "일체(一切) 아니면 무(無)"라 외치며 비속한 사회에 도전하는 〈브란〉(1866), 부 · 쾌락 · 모험을 추구하는 인간의 방랑과 환희와 고뇌를 묘사한 〈페르 귄트〉(1867), 배교자 줄리안의 일생에 바탕을 둔 극으로 이교와 그리스도교 사이에서 갈등을 겪으면서, 정열과 영혼 사이의 틈을 이어줄 수 있는 '제3지대'라는 개념을..
그리스인 조르바 발제문 1. 작가 소개 – 니코스 카잔차키스 1883년 그리스 크레타 섬의 수도 메갈로카스트로(이라클리온) 출신. 조부와 부친은 터키지배에 저항하여 독립운동을 하였다. 카잔차키스는 이런 집안의 영향으로 터키에 적개심을 가지고 있었으며, 1990년 크레타에서 터키인 관리가 살해되는 사건이 일어나 터키인들에 의해 기독교인 학살이 시작되자 키클라데스 제도 낙소스 섬으로 피신하였다. 낙소스 섬에서 프랑스 가톨릭 수도회가 운영하는 학교에서 프랑스어를 배웠다. 고교시절에는 물리학을 공부하였고, 1902년 아테네 대학에서 법학을 공부하였다. 1907년 󰡔동이 트면󰡕이라는 희곡을 발표, 10월에는 프랑스에서 앙리 베르그송과 니체의 철학을 공부한다. 또한 불교에 심취하여 부처를 통해서도 자신의 구원을 얻기 위해 노력했다. 19..
일본을 대하는 우리의 태도 미야자키 하야오 얘기로 시작해볼까 합니다. 그동안 인간 본성의 부정적인 면을 적나라하게 드러내면서도 미래와 인간, 자연을 긍정적으로 해석하는 따뜻한 환타지 세계를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호평을 받아오던 미야자키 하야오. 특히 한국에서 얻은 대중적 인기는 대단해서 지브리 스튜디오 레이아웃전이 성황을 이룰 정돕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번 의 개봉을 앞두고 한국인들의 배신감을 불러일으킨 듯한데요. 역시 기존의 작품들처럼 “일본의 위기를 감싸려는 애틋한 시도”를 품고 있지만, “군국주의 시절에 대한 향수”와 함께 가미카제 전투기 제로센의 설계자를 주인공으로 하고 있다는 사실 때문에 그렇습니다. 2차 세계대전의 전범이었던 일본이 자국을 향한 비판적이고 반성적인 태도를 보여주지 못한 상태에서 곧바로 위안,회상으로 건..
Death is Not the end. But only a transition. * 제목은 Dream Theater의 앨범의 가사에서 발췌하였다. 이 글은 에 관한 이야기이다. 영화평을 찾아보다가 내가 하도 억울해서 메모한다. 인상평만 먼저 간단히 적어보자면, 2013년 1월에 본 두 개의 혁명 영화 중에서 더 위안이 되었던 것은 이 아니라 였다. 2013년 1월, 한국에서 얻은 의 큰 흥행이 기만적으로 느껴진 반면, 의 흥행실패가 적지 않게 아쉽다. 내가 매우 사랑하는 이동진 씨마저 "내적 연관성이 없기에 서로 묶이지 않는 요소들을 억지로 묶어내는 데서 오는 폐해는 각 에피소드들 간에 심한 불균형을 초래하기도 합니다."라면서 실망감을 느꼈다고 하니, 내가 본 내적 연관성과 내가 느낀 감동요소를 잊지 않기 위해 메모하려고 한다. 워쇼스키 형제와 영화 에 대한 내 애정을 기반으로 했을..
레미제라블 이 영화를 보고 왠지 글을 쓸고싶어질 거라고 생각했다. 레미제라블은 프랑스 혁명기를 살아가던 한 남자가 그 당시를 두 눈 똑바로 뜨고 지켜보면서 쓴 글이다. 그만큼 고통스러운 작업이었으리라 생각한다. 동시에, 절망속에 빠져 살아가는 사람들을 그렇게도 구체적으로 묘사를 해 나갔던 그 남자는 참으로 독한 인간이었으리라고도 생각한다. 일개의 도둑이 성인으로 변화하는 장발장이라는 인물을 그리면서 그는 기도하는 마음을 가졌을지도 모를 일이다. 그리고 동시에 한 명의 개인에게서 희망의 섬광을 보았으리라. 그것이 이 영화를 보면서 가장 처음 느낀 점이다. 장발장과 판틴, 그리고 혁명군들, 죽어간 시민들의 신념이 남아서 프랑스를 지킬 것이라 예언했던 위고의 시선과 절망감은 너무나도 위대했다. 죽음 속에서 꽃피는 삶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