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크 그리프, <모든 것에 반대한다> 중 "시민 불복종"에 대하여.
모든 것에 반대한다수전 손택은 해석에 반대한다. 로라 키프니스는 사랑에 반대했다. 그리고 마크 그리프는 ‘모든 것에 반대한다’. 장폴 사르트르, 수전 손택의 뒤를 잇는 작가이자 에세이스트로, 음악, TV 등 문화와 라이프 스타일에 관한 날카로운 통찰로 크게 호평받는 전방위적 문화비평가 마크 그리프의 비평 에세이 《모든 것에 반대한다》가 은행나무출판사에서 출간됐다. 습관적인 공감은 다양한 의견이 설 자리를 빼앗는다. ‘좋아요’는 엄청나게 달리지만 별다른 감흥을 주지 못하는 SNS의 글들이 지금 우리 시대를 대변하고 있다. 저자 마크 그리프는 이런 현상에 이의를 제기하며 운동, 음식, 성 상품화, 음악, 리얼리티 쇼, 경찰, 파병 등 현대 사회의 논란거리들을 보란 듯이 가져와 조목조목 반론을 제기한다. 옳다..
마크 그리프, <모든 것에 반대한다> 중 "진정한 재산"에 대하여
모든 것에 반대한다수전 손택은 해석에 반대한다. 로라 키프니스는 사랑에 반대했다. 그리고 마크 그리프는 ‘모든 것에 반대한다’. 장폴 사르트르, 수전 손택의 뒤를 잇는 작가이자 에세이스트로, 음악, TV 등 문화와 라이프 스타일에 관한 날카로운 통찰로 크게 호평받는 전방위적 문화비평가 마크 그리프의 비평 에세이 《모든 것에 반대한다》가 은행나무출판사에서 출간됐다. 습관적인 공감은 다양한 의견이 설 자리를 빼앗는다. ‘좋아요’는 엄청나게 달리지만 별다른 감흥을 주지 못하는 SNS의 글들이 지금 우리 시대를 대변하고 있다. 저자 마크 그리프는 이런 현상에 이의를 제기하며 운동, 음식, 성 상품화, 음악, 리얼리티 쇼, 경찰, 파병 등 현대 사회의 논란거리들을 보란 듯이 가져와 조목조목 반론을 제기한다. 옳다..
<거부당한 몸>, 수전 웬델, 강진경 외 옮김, 그린비, 2018. 노트
※ 수전 웬델은 생각보다 급진적으로 장애를 정의한다. 수전 웬델은 온전히 사회적 통념에 의한 배제를 장애의 기준으로 삼는데, 이 기준에 따르면 사회적 고정관념과 '정상인' 남성을 기준으로 설정된 모든 인프라에 의해 배제된 사람들은 모두 장애의 요건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내가 아이를 낳고 나서 동네에 얼마나 많은 편의점들이 경사로를 놓지 않았는지, 버스가 얼마나 위험하게 운행하는지를 깨닫게 되었던 것처럼 말이다. 이렇게 따지면 기존에 우리가 떠올릴 수 있는 익숙한 '장애인'을 포함하여, 출산, 임신 상태에 있는 여성, 문화적 차별을 겪고 있는 여성, 유색인종, 유병자, 아이들, 가난과 빈곤에 시달리는 사람들, 비만인 등 편견을 안고 사회적 가장자리에 놓인 모든 사람을 '장애인'이라고 할 수 있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