습작 및 기고문들/<Ugly Laws> 번역 연재 (14) 썸네일형 리스트형 <Ugly Laws>, Susan M. Schweik. Part 1. 번역⑤ 시카고에서 장애를 가진 상태로 체포된 사람들이 단순한 구걸로 체포된 것인지, 아니면 부랑자여서 체포된 것인지 구별하기 어렵다는 점은 절망적이면서도, 중요하게 조명해야 할 부분이기도 하다. 겉보기에는 뚜렷하게 구별되지만, 때로는 중첩되는 두 집단, 즉 “장애가 없는” 거지와 “병들고, 기형적이고, 불구인” 사람들 간의 복잡한 관계는 Ugly Law의 출현과 큰 관련이 있다. 구걸(Panhandling)은 다음과 같은 해석의 위기를 야기했다. 어떻게 하면 구걸에 성공하기 위해 거지의 페르소나를 만들어내는 ‘건강한 거지’를 구분할 수 있느냐 하는 것이다. 구걸에 성공하기 위해 자신만의 서사를 만들어내는 장애인들이 등장했다는 점은 의미심장하다. 이러한 딜레마는 제5장에서 설명할 것인데, 이는 장애의 시각적 수행.. <Ugly Laws>, Susan M. Schweik. Part 1. 번역④ 뉴올리언스 NEW ORLEANS 샌프란시스코와 시카고 모두 Ugly Law라고 부르기에 적절하면서도 독특한 문구를 가진 특정 조례를 제정했다. 하지만 가끔은 내가 Ugly Law라고 부르는 것과 분명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다른 표현을 사용하거나, 다소 다른 문맥 안에서 이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뉴올리언스의 버전이 그 좋은 예이다. 피비 의원이 염두에 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으려는 의도는 분명하지만, Ugly Law와는 다른 표현을 사용하였다. 피비의 시카고 법은 단순히 이론적으로 질병이나 기형을 가지거나 장애를 가진 사람들의 “노출”을 금지하고 있다. 그것은 시카고 법전에서 별도의 공간을 차지했고, 헤드라인에서도 ‘보기 흉함’에 대하여 분명히 주의를 환기하고 있었다. 샌프란시스코 법의 헤드라인.. <Ugly Laws>, Susan M. Schweik. Part 1. 번역③ 시카고CHICAGO Ugly law는 샌프란시스코가 경험한 것처럼 폭발적으로 과잉 성장을 하지 않은 도시에서 싹틀 수 있다. 1880년, 비슷한 조례를 채택하려는 또 다른 포스트 골드러시 마을인 오리건주 포틀랜드에서도 역시 18,000명 미만의 인구가 있었다. 그러나 도시 혼잡의 스트레스 아래에서도, 특히 미드웨스트의 시의회는 보기 흉한 거지 조례를 특별히 매력적으로 여겼다는 사실이 입증되었다. 시카고가 그 대표적인 예이다. Ugly Law는 장애운동가들이 흔히 인용하는 전설적인 해인 1911년이 아니라, 1881년의 시법에서 등장한다. 타이밍이 중요하다. 장 루이 코몰리 Jean-Louis Comollo가 썼듯이, “19세기 후반은 시각적인 것이 광란하는 시기이다.” 19세기 후반 미국에서는 “.. <Ugly Laws>, Susan M. Schweik. Part 1. 번역② 병약한 사람들과 신체적으로 불편한 사람들만이 Ugly Law에 해당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오히려 그렇지 않다. 리빙스턴Livingston이 말하는 “장애, 만성 질환, 노화의 중복”에 포함되는 신체적으로 연약한 장애인들은 감독위원회의 정의에 따르면 "볼썽사나운 거지Unsightly Beggars"에 속한다. 샌프란시스코 법령 2절에서 약자는 무력하다고 기록되어 있다. 제3조에서는 약자를 “질병, 손상, 훼손, 장애 또는 어떤 식으로든 기형인 사람들...”이라고 명명하는데, 보기 흉한 사람들도 여기에 해당한다. 오히려 병약하거나 몸이 불편한 사람들은 면제가 필요한 경우에 명령에 의해 면제될 수 있다. 그와 달리 보기에 혐오스러운 사람들은 법을 전폭적으로 적용하여 범죄자에 해당하게 만든다. Ugly.. <Ugly Laws>, Susan M. Schweik. Part 1. 번역① Part 1. The UGLY LAWS의 출현 장애로 인한 실제 신체적 한계와 신체 장애인의 이동가능성은 거의 관계가 없다. 오히려 신체 장애인의 이동가능성은 대중의 태도와 관련된 고려사항과 더 밀접하게 관계되는데, 대중의 태도는 신체 장애인에 대한 오해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많다. 대중의 인식은 장애인에게 물리적 한계가 있을 것이라는 상상을 포함한다. 장애인들이 위해를 받지 않도록 함으로써 달성해야 할 안전에 대한 대중의 배려, 보호 관리 및 보호 보안에 대한 대중의 감정, 장애인들이 왜 해외에 나가기를 원하는지에 대한 대중의 의구심, 그들의 모습을 보는 것에 대한 대중의 혐오감과 그들의 곤경을 눈에 띄게 상기하는 것 등등, 대중이라 할 수 있는 우리의 목적을 위해 인간의 머리와 심장에 불명예스러운.. <Ugly Laws>, Susan M. Schweik. Introduction 번역 ⑧ 다음 장에서는 우생학 및 국가 기관의 부상을 포함하여 이 법의 틈새시장을 형성하기 위해 수렴된 광범위한 요소들을 공개한다. ①도시 미관을 위한 현대 도시 계획 및 지도 개발 ②광범위한 기술 변화와 기업 권력의 증가로 인한 현대적 특징으로 발생한 부상(injury)에 대한 새로운 문화 ③거리에서 이루어지는 공공단체의 행동에 대한 도시 예절과 예의에 관한 새로운 압력 ④교육학적 공간으로서의 도시 공공 영역에 대한 이해의 증가 ⑤도시의 동물성을 둘러싼 불안감 ⑥금주 및 금주운동 ⑦혐오의 수사. 1부의 말미에서 나는 Ugly Law를 적극적으로 지지하는 위선자들의 모습을 자세히 살펴볼 것이다. ‘보기 흉한 거지’에 관한 담론들은 대부분 모든 장애를 가진 거지들을 예외 없이 “부끄러운 불구자”라고 간단히 가정해 .. <Ugly Laws>, Susan M. Schweik. Introduction 번역 ⑦ 잠시 뒤로 돌아가, 이 책의 시작을 장식했던 클리블랜드의 한 남성의 모습으로 돌아가 보도록 하자. 이 남성은 Ugly Law의 타깃이 될 만한 공식적인 얼굴과 신체를 부여받고 있다. 그는 1916년 클리블랜드의 “보기 흉한” 조례에 대해 다음과 같은 발언을 했다. 클리블랜드 블리프 서베이(Cleveland Bliffle Survey)는 “그는 비록 그 법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법의 의미를 높이 평가했다. 그러나 불구자를 위한 또 다른 조치를 마련해 다른 기회를 제공하지 않는 한, 그 조례를 시행한다는 것은 결코 현명하지 못한 것이라고 생각했다”고 보도했다. 이 사람이 경계하고, 전략적으로 항의하면서도 동시에 감사를 표하는 것은 정확히 어떤 의미였을까? 그는 이 법의 배후에 있는.. <Ugly Laws>, Susan M. Schweik. Introduction 번역⑥ 존 벨루소의 최근 역사극인 에는 장애 사회 비평가이자 작가인 역사적 인물인 랜돌프 본Randolph Bourne이 시카고를 방문했을 때 Ugly Law와 정면으로 충돌하는 장면이 등장한다. 벨루소는 이 사건이 허구라는 사실을 알았다. 이 허구적인 장면은 Ugly Law에 대해 장애의 역사로 통하는 무언가를 말해주려는 입장을 취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Ugly Law는 상징적인 방식으로 효과적으로 작동한다는 것이다.(나는 ‘상징적’이라는 단어와 ‘효과적’이라는 단어를 똑같이 강조하고 있다.) 만약 이 법에 따라 인용된 것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다면, 왜 그렇게 많은 사람들이 지금까지 계속해서 언급하는 것일까? 이 책의 목적은 장애 연구에서 Ugly Law를 도상학적 스토리로 이야기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 이전 1 2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