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 Can’t Address the EU Refugee Crisis Without Confronting Global Capitalism, Slavoj Zizek
(기사 원문 : http://inthesetimes.com/article/18385/slavoj-zizek-european-refugee-crisis-and-global-capitalism?utm_content=bufferc557c&utm_medium=social&utm_source=twitter.com&utm_campaign=buffer)
지젝이 한 말을 제대로 이해한 건진 모르겠지만, 대략 네가지로 요약할 수 있는 건가?
①유럽은 대규모 난민사태를 책임지려는 태도를 가져야 한다. 그것이 자본주의의 수혜자였던(식민지시대를 거쳐 부를 축적할 수 있었던) 유럽이 지불해야 할 비용이다. 그리고 그것을 위해서는 로컬 및 글로컬에 대한 인식전환이 필요하다.
②유럽은 스스로를 조직화하는 방대한 행정네트워크를 마련해야 한다. 난민은 유럽의 법률과 규범을 지키는 한에서 자유를 누릴 수 있어야 한다.
③국제관계는 새로운 형태를 취해야 한다. 신식민주의(neocolonial)을 경계하는 극단적인 안전조치가 행해져야 한다.
④난민을 낳는 사회적, 경제적 변화가 급속히 이루어져야 한다. 글로벌 자본주의 자체에 저항하는 태도, 즉 오늘날의 공산주의가 대두되어야 할 시점이다.
지젝이 반복해서 언급하고 있는 '새로운' 혹은 '오늘날'의 공산주의라는 것이 와닿지는 않았었는데, 지금 와서 생각해보면 시민중심주의적 사회, 다시 모든 것을 국민의 주권으로 되돌려주는 사회를 의미하는 듯하다. 그리고 나도 실제로 모든 교육, 정책, 경제 등의 실무적인 일들이 소규모 공동체로 돌아와도 좋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심지어 불가능한 일도 아닐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