습작 및 기고문들/<Ugly Laws> 번역 연재 (14) 썸네일형 리스트형 <Ugly Laws>, Susan M. Schweik. Introduction 번역⑤ 멜리사 콜Melissa Cole은 장애법 연구에 퀴어 이론의 통찰력을 적용함으로써 ‘장애인’ 이 자신의 ‘장애’를 ‘질병’으로 치부할 만한 것들을 숨길 의무가 있음을 주장했다. 그리고 다리를 절거나 기는 행동 일체를 금지하는 것은, 법률을 이용해 장애를 직접적으로 공격하는 차별적 요구라고 강조했다. 법전에서 사용하는 Ugly Law와 관련된 텍스트들은 다양한 지역의 관행과 역사적 발전 과정에서 다양하게 변형된다. 예를 들어 1880년대에 통과된 세 가지 법률에서 나타나는 초기의 “가난한 집/빈농장 조항”은 주목할 만하다.(시카고, 링컨, 덴버의 법률) 시카고 버전에서는 “본 조항을 위반하여 유죄판결을 받은 자는 적절하고 정당하다고 판단될 경우 벌금형을 유예할 수 있으며, 경찰서에 구금된 자는 카운티 빈민.. <Ugly Laws>, Susan M. Schweik. Introduction 번역④ 사실 내가 여기서 설명하려는 일반적인 충돌은 미국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에리트레아, 북한, 독일에서 볼 수 있는 최근의 사례는 맥킨리McKinley, 김Kim, 그리고 데게너Degener를 참조) 또한 이러한 일들은 지난 세기의 전환기에 국한되는 것도 아니다. 머레이에 의하면 지난 1729년의 영국에서는 런던의 상인들이 “돈을 갈취하기 위해 떠돌아다니면서 거리를 망측하게 만드는 사람들을 엄하게 가두고 수감하기 위한” 채찍질, 작업실, 국가 기관 설립을 제안했다. 여기에는 “불구가 된 사지를 보여주려고 거리를 돌아다니는 생명체”을 비롯한 더 넓은 집단이 포함되었다. 결함이 있거나 기형인 상태로 태어난 어떤 사람이라도, 혹은 불에 의해 불구가 되거나 ... 어떤 고질적인 디스템퍼Distemper(바이.. <Ugly Laws>, Susan M. Schweik. Introduction 번역③ “Ugly Law”라는 표현은 마르시아 피어스 부르그도르프와 로버트 부르그도르프 주니어Marcia Pearce Burgdorf and Robert Burgdorf Jr.가 1975년에 출판한 의 획기적인 한 단락에서 처음으로 사용한 것이다. 저자들은 “최근까지” 시행되었다고 말한 시카고 시법 버전의 법전을 인용하였고, 그들은 시카고, 콜럼버스, 오마하의 세 도시의 법전에 각주를 달았다. 로버트 부르그도로프는 2007년에 그가 이 법령들을 찾아냈다고 나에게 편지를 썼다. “나는 우리가 어떤 도시를 가장 먼저 접했던 건지는 기억하지 못합니다. 추측해 보자면 아마도 오마하에서 일어났던 체포와 의 기사가 우리의 관심을 끌었던 것 같습니다.” 부르그도르프는 오마하 사건 보고에서 영감을 받아 이 세 도시의 사례에 .. <Ugly Laws>, Susan M. Schweik. Introduction 번역② 사실 내가 여기서 설명하려는 일반적인 충돌은 미국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일들은 지난 세기의 전환기에 국한되는 것도 아니다. 머레이에 의하면 지난 1729년의 영국에서는 런던의 상인들이 “돈을 갈취하기 위해 떠돌아다니면서 거리를 망측하게 만드는 사람들을 엄하게 가두고 수감하기 위한” 채찍질, 작업실, 국가 기관 설립을 제안했다. 여기에는 “불구가 된 사지를 보여주려는 목적으로 거리를 돌아다니는 생명체”를 포함한 더 넓은 집단이 겨냥되었다. 결함이 있거나 기형인 상태로 태어난 어떤 사람이라도, 혹은 불에 의해 불구가 되거나 ... 어떤 고질적인 바이러스 질환(Distemper)에 의해 비참한 존재가 되었다면, 그들의 길은 런던으로 열려있다. 그곳에서는 사람들을 겁주기 위해 소름끼치는 모습을.. <Ugly Laws>, Susan M. Schweik. Introduction 번역① 1916년 이전, 오하이오의 클리브랜드, 1면에 사진이 실린 이 남자는 직장을 잃었다. 사진에서 그는 미소를 지으며 서 있다. 하얀색 타이를 맨 신문 배달 모자를 쓴 소년은 신문 더미를 들고 있다. 자신감 있는 시선으로 카메라를 응시하는 이 젊은 남자는 손과 발이 뭉툭해 형체를 알아볼 수 없다. 1916년 “클리블랜드 복지 연맹 기근 위원회”의 보고서에는 “법령 시행” 이전까지 이 남자가 신문을 어떻게 팔아왔는지에 대한 이야기가 기록되어 있다. 문제의 법령은 이 책 의 주제가 되는 판본이다. 나는 이 남자가 명백하게 추한 외모를 가지고 있지 않다고 생각하는데, 이런 나의 생각에 대부분의 독자들이 동의할 것이라 생각한다. 사실상 그는 용기로 가득 찬, 지극히 평범하면서도 매력적인 사람이다. 수십 년 전인 .. <Ugly Laws>, Susan M. Schweik. 서문(PREFACE) 번역 이 책은 장애 문학 이론 연구자로 잘 알려져 있는 토빈 시버스Tobin Siebers가 UC 버클리에서 진행한 강연으로부터 시작한다. 내가 영문학 교수로 재임 중인 버클리는 학제 간 장애 연구 프로그램을 발전시키고자 하는 학자들의 모임이 있으며, 나 역시 이 모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우리는 토빈을 초대하여 강의를 부탁하였다. 토빈이 강의를 진행하면서 미국법령을 간단하게 인용했는데, 그것이 지금의 나의 연구 주제가 되었다. 그 미국법령은 이미 나에게 굉장히 익숙한 것이었다. “질병을 가지거나 신체 장애를 가진 사람들, 기형을 지닌 사람들”이 대중에 모습을 드러낼 수 없도록 한 것은 미국의 법령이 그들을 “Ugly Law”라는 추악한 말로 호명하였기 때문이라는 사실에 나는 충격을 받았고 격분했다. ..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