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성

(7)
일라이 클레어, 전혜은.제이 옮김, <망명과 자긍심>, 현실문화 ▶ 저자는 퀴어, 망명, 계급의 문제로 자신의 이야기를 풀어나간다. 이 세 가지는 분리되어 있는 듯하면서도 복잡하게 얽혀 있으며, 저자의 신체에 고스란히 그 흔적을 가지고 있다. 여성, 뇌병변 장애인, 다이크, 백인, 성폭력 생존자, 오리건 포트 오포드 출신의 망명자, 계급 노동자로서의 복잡한 '자기'를 스스로 이해하고 글로 옮기는 저자의 적확성과 그 과정에서 경험했을 고통을 표현한다. 이 책은 계급성이 단일한 명명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것을 증명함으로써 단일 쟁점 정치에 반대한다. -손상과 장애의 개념 -손상(impairment)과 장애(disability)를 구분하는 장애 모델을 생각했다. 장애 이론가 마이클 올리버(Michael Oliver)는 손상을 "사지의 일부분이나 전부가 없는, 혹은 사지나..
김동인,「金姸實傳」,『문장』, 1939년 3월. 1. 주제 신념과 지식 없는 신여성의 사상과 행동을 비판. 2. 등장인물 -김연실 : 주인공, 가족에게서 벗어나고자 하여 유학을 떠났다가 신여성의 길을 걷게 된 인물, 김동인이 제대로 된 지식과 신념이 없는 신여성을 비판하기 위해 창조한 캐릭터이다. -김영찰 : 김연실의 부(父). 동네의 높지 않은 리속(吏屬)이었으나, 변화하는 시대에 맞추어 화류계에서는 높은 지위인 것처럼 인정받게 된 인물이다. -연실의 적모 : 군정의 며느리로 교양 없이 자란 사람이지만 시집 와서는 교양 있는 사람인 것처럼 행동하는 사람이다. 자기의 과거는 생각하지 않고 남의 탓을 하는 사람이다. -최명애 : 김연실의 진명학교 3년 선배. 일본 유학을 도왔으며, 연실의 행동에 계속 충고를 해주는 사람이다. -도가와(戶川) : 연실에게..
김소엽 연구 2 2007년 2학기... 불사른 글. 조만간 수정할지도... 피흘리면서 열심히 쓴 글이니 퍼가거나 인용하실 때 제발 덧글 남겨주시길.... 어차피 쓸모도 없겠지만... ================================================================================================ 일상의 식민지배, 그늘 속의 여성 -김소엽 소설 연구2- 소설 「누님」,「그늘밑에서」,「폐촌」을 중심으로 1. 1930년대 중반, 김소엽의 시선 2. 김소엽의 여성들 2-1. 기생. '성애화'된 여성 -「그늘밑에서」 2-2. 현모양처. 전근대와 근대, 경계의 여성 -「누님」 2-3. 농촌여성. 자본과 주체권력 안의 여성 -「폐촌」 3. 소외된 여성을 그린다는 것 1. 1..
아케이드 프로젝트, O매춘,도박 공간과 화폐의 인식은 근대성의 인식과 맞물린다. 시․공간은 화폐로 구획되어 판매된다. 한국의 모더니즘 작가 이상은 근대성의 인식을 바탕으로 도시공간을 소비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 여러 가지 가치들이 변질되는 양상을 불안하게 지켜본다. 에서 '나'는 금홍에게 정조라는 것을 강요하지 않고 매춘을 권장한다. 사랑하는 여인에게 매춘을 권장한다는 것은 매우 비정상적인 행동이다. 그러나 주인공의 태도는 금홍의 직업이 몸을 팔아 돈을 버는 것이기 때문에 그것을 막을 권리가 없다는 식이다. 근대성 안에서 몸과 화폐를 맞바꾼다는 것은 어쩌면 지극히 당연한 행위이기 때문이다. 이렇게 매춘은 스스로를 근대적인 감각으로 드러내는 적절한 기제로 쓰인다고 할 수 있다. 매춘부들도 도시 안에서의 매춘행위가 얼마나 현실적인 것인지 알..
고혜정, <날아라 금빛 날개를 타고> 에세이 1. 인간 누군가 인간이 가장 강했던 순간이 언제냐고 묻는다면 필자는 주저 없이 고통을 극복해 내었을 때라 말할 것이다. 그 중에서도 여러 자유를 억압하는 사회의 틀을 깨어버린 사람을 기억해 낼 것이다. 자신을 가두고 있던 것을 깨버리는 행위는 ‘혁명’이다. 그것이 역사적으로 기록될만한 큰 사건이 아닐지라도 말이다. 오히려 규모가 작지만 자신을 극복한 사례를 혁명이라고 부르고 싶다. 강한 압력은 그에 합당한 폭발을 동행한다. 따라서 갇혀있는 것들은 분출의 대상이다. 그러나 인간이 각성하는 데에는 그만한 동기가 주어진다. 그것은 바로 사랑이다. 인간에 대한 사랑이 없이는 혁명이 일어날 수 없다. 예수가 그러했듯이, 체 게바라가 그러했듯이 인간의 존재, 생명에 대한 존재감이 혁명을 불러오는 것이다. 한 사람..
마네, <올랭피아> 남자들은 옷을 입고 있으면서도 욕망은 누구나 알 수 있도록 노출되어 있는 반면, 여자는 몸을 드러내고 있으면서도 자신의 욕망은 아무도 알지 못하도록 감추고 있다. , 스티븐 컨, 휴머니스트, 2003
수사법과 표현 1. 도시 장식의 교체 1859년~60년의 파리는 경제적 발전과 도시화의 물결로 도시를 개조, 재건축하면서 장식물이 증가했다. 장식품들은 대부분 종교적 조각상과 나폴레옹 동상이었다. 그것은 자그마한 마을 입구의 십자로에 성모상을 세우는 것에서부터, 대도시의 최고 정점을 이루는 거대한 조각상에 이르기까지 시각적인 기획으로 일상생활에 침두하고 있었다. 이러한 기념 건조물은 앞선 시기에 만들어졌던 자유주의적 기념 건조물을 의식하듯이 급속도로 늘어났다. 오래전부터 파리의 공화정과 자유를 상징했던 '마리안느' 장식이 반혁명적 이상과 긴밀하게 연관된 교회의 상징들로 대체된 점은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그것은 1848년의 혁명 실패의 결과이며 보나파르트주의의 상징이었다. 이렇듯 제2제정기간 동안 각각의 계급과 공동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