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체정치 (2) 썸네일형 리스트형 바버라 아네일.낸시J.허시먼 엮음, 김도현 옮김, <장애의 정치학을 위하여>1장~ 5장 노트 , 후마니타스, 2023. -- 존 스튜어트 밀의 경우 나는 존 스튜어트 밀의 을 여러 해 동안 학생들에게 가르쳤는데, 이는 그 책에 자유에 대한 권리에서 장애인을 배제할 수 있는 문구가 존재함을 알아채기 전의 일이었다. 밀은 잘 알려져 있다시피 고전적 자유주의와, 논쟁의 여지는 있지만, 현대 미국 자유지상주의의 지도적 교리를 제시했다. ~ "이 원칙이 성숙한 정신적 능력을 지닌 인간에게만 적용된다는 점을 굳이 부연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우리는 아이들이나 청소년에 대해 말하고 있는 것이 아니다........ 아직 타인에 의해 돌봄을 받을 필요가 있는 상태에 있는 이들은 외부적 상해뿐만 아니라 그들 자신의 행위에 대해서도 보호를 받아야만 한다."(18) -정치이론가들은 좀처럼 장애를 학문적 문제로 취급하지 않으면서 장애인을 배제해.. 신체정치를 꿈꾸다 : 혁명적 정치와 유토피아 요강, 1830~1848 1. 파리의 오스망화(化) 1848년 6월의 투쟁은 상이한 두개의 근대성 개념이 충돌한 사건이었다. 하나는 철저하게 부르주아적으로 언론과 시장에서 자유를 추구하며, 화폐권력에 수반되는 종류의 자유와 평등을 추구하는 축이고 또 하나는 인구 전체의 빈곤을 다룰 능력이 있는 사회주의공화국을 추구하는 축이었다. 결국 사회공화국을 향한 6월의 혁명은 실패하고 전자가 승리한다. 그 이후 제 2제정이 시작되면서 나폴레옹 3세에 의한 권위주의적인 통치가 전개되었다. 그것은 프랑스 경제 상황의 주요한 반전과 맞물려 있었고, 이 시기에 센 지역의 도지사를 맡고 있었던 오스망 남작에 의해 파리 시가 정비된다. 파리는 곧 새로운 철도망의 중심이 되고 국가경제에 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기 시작한다. 오래된 노동자의 주거지역은..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