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리컨티넨탈리즘 (2) 썸네일형 리스트형 『포스트 식민주의 또는 트리컨티넨탈리즘』, 16장. 라틴 아메리카Ⅱ-꾸바 : 게바라, 까스뜨로, 트리컨티넨탈 체 게바라 와 까스뜨로는 종속이론에 입각하여 포스트모더니즘적인 주장을 펼친다. 그들의 정치이론은 저개발 국가들이 강력한 개발국가에 의해 지배당하고 있음을 지적하고, 종속의 상태에서 벗어날 수 있는 대안적인 방법들을 제공한다. 먼저 정체적 독립이 이루어진 후에는 경제적 독립이 반드시 필요하며, 경제적 독립을 이루는 단계가 매우 어려울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제국주의가 세계 체제라면 세 대륙(라틴 아메리카, 아시아, 아프리카)은 그것에서 벗어나야만 하며, 사회주의야말로 세 대륙의 경제와 문화가 제국주의라는 세계 체제에서 벗어나게 하는 수단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체 게바라는 포스트모던의 의미를 새롭게 정립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는 국제적인 시각을 유지하여 세 대륙에 존재하는 빈곤과 불의, 내부와 외부.. 『포스트 식민주의 또는 트리컨티넨탈리즘』, 제10장 제3인터내셔널, 동방 민중의 바꾸 총회까지 1. 제3인터내셔널의 성립 제2인터내셔널이 제1차 세계대전으로 제국주의적 분파주의에 빠지자 레닌은 제3인터내셔널, 즉 공산주의인터내셔널, 코민테른을 건설하기 위해 노력했다. 제3인터내셔널을 형성하는 주된 목적은 “세계의 프롤레타리아 혁명 정당을 통일시키고 전 세계에 걸쳐 공산주의 혁명의 승리를 촉진하고 앞당기”는 것이었다. 그리하여 제3인터내셔널의 제1차 총회는 1919년 3월에 개최되었다. 이 총회는 베르사유 조약으로 평화를 약속한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억압을 문제로 삼았다. 뜨로쯔끼는 “식민지의 해방은 메트로폴리스, 노동자 계급의 해방과 결합해야만 가능하며 유럽이 가장 중요하고 식민지의 혁명은 부차적이라”고 선언문을 발표하였다. 그리고 그것은 곧 식민지 혁명이 계급 혁명의 하위에 속한다는 것을..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