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편성과 토착성 (1) 썸네일형 리스트형 포스트 콜로니얼한 글쓰기의 세 단계와 궁극적 지향점 빌 애쉬크로프트 외 지음, 이석호 옮김, , 민음사, 1996. 포스트 콜로니얼한 글쓰기의 세 단계와 궁극적 지향점 (3장. 텍스트 다시 쓰기 – 포스트 콜로니얼한 글쓰기의 해방) "포스트 콜로니얼한 담론 내에서 가장 의미심장한 전유는 글쓰기 그 자체의 전유이다. 포스트 콜로니얼한 텍스트의 전략이 내포하고 있는 갈등 및 투쟁의 초점은 글쓰기 과정에 대한 통제에 집중되어 있다." 다시 말해 식민주의적 억압이 를 통제하는 방식으로 작용한다면, 포스트 콜로니얼한 글쓰기는 의사소통능력을 '전유'함으로써 권력을 이양하는 전략을 사용한다는 것이다. 츠베탕 토도로프는 "통역사"라는 존재를 식민주의자와 피식민주의자를 연결하는 동시에 주변부를 중심부의 언어를 전유하는 자로 해석한 바 있다. 이는 얼핏 침략자의 문화를 지..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