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자율과 이윤율의 관계>
이자는 이윤의 일부이다. 따라서 이자는 이윤에 의해 규제될 수밖에 없다. 만약 총이윤과 화폐자본가에게 지불되는 이자가 일정한 비율로 고정되어 있다면, 일반적 이윤율이 높을수록 기능자본가(산업․상업 자본가)에게 귀속되는 자본이 증가할 것이다. 반대로 이윤율이 낮을수록 기능자본가가 얻을 수 있는 자본은 감소한다. 따라서 이자율이 고정되어 있을 경우에 기능자본가는 이윤율을 높이기 위해 자본을 계속 투하하고자 할 것이다. 그러나 이윤율은 자본주의적 생산발달 수준에 의거한다. 따라서 자본가의 뜻대로 이윤율을 조정할 수 없다. 이윤율의 수준은 자본주의적 생산에 반비례하며, 이윤율에 영향을 받는 이자율 또한 산업발달의 수준에 반비례하게 된다.
<이윤의 분할>
전체 이윤의 크기는 평균 이윤율에 의해 결정된다. 그리고 이윤은 화폐자본가와 기능자본가에게 분할되어 나뉘어진다. 이자는 기능자본가의 수중에 있는 이윤부분에 반비례하게 변동하게 되는데, 보통은 반대로 이자부분에 의해 이윤이 반비례하게 변동한다. 흔히 공황시기에 이자율이 가장 높아지는데, 그로인해 유가증권(securities)의 가격이 하락한다. 그러면 화폐자본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그 증권, 곧 이자 낳는 증권을 헐값으로 구매할 수 있다. 가격이 하락한 유가증권은 이자율이 하락하자마자 곧 평균 가격을 회복하게 된다.
이자율이 이윤율과 상관없이 저하하는 경우도 있다. 여기에는 두 가지 이유가 있는데, 첫 번째는 조상의 노동으로 재산을 축적하여 이자만으로 잘 살 수 있는 계급이 생기고 늘어나기 때문이다. 그런 부류의 사람들은 그 나라의 부가 증대했을 경우에 늘어난다. 이들은 대부자계급과 동일한 계급이며 이들을 금리생활자(金利生活者: the class of rentiers)이라고 부른다. 두 번째는 신용제도가 발달하는 것이다. 저축으로 사회적 화폐자본의 집적이 거대해지면 이자율도 저하한다.
어떤 경제학자(람지)는 이러한 현상을 보고 그 나라의 부의 변동 때문에 이자율이 변한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평균 이자율을 계산을 통해 발견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평균이자율은 차입자와 대부자 일반의 합의 또는 경쟁에 의해 결정된다. 두 당사자가 이윤을 어떻게 분할할 것인지 정하는 것은 순전히 당사자들의 경험에 의거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자연적’ 이자율은 결코 존재하지 않는다. 이자율과 이윤율의 관계는 상품의 시장가격과 가치의 관계와 비슷하다. 개별자본가의 의도나, 한 산업분야의 특수한 이윤율을 통해서 평균 이윤율을 조정할 수 없다. 이자율이 이윤에 의해 결정되는 한 이자율 또한 마찬가지이다. 그러므로 합의나 경쟁과 같은 우연한 것에 법칙을 정하려고 노력하는 것은 망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자율은 항상 확정된 명확한 크기로 나타난다. 왜냐하면 일반적 이윤율이 끊임없이 변동한다고 해도 사회의 다른 구조에서 계속해서 상쇄되기 때문에 고정된 크기로 나타난다. 그리고 이 일반적 ‘이윤율의 상대적 불변성’은 이자율에도 반영된다. 이는 상품의 시장가격이 고정되는 것과 같은 현상이다. 사회 안의 대부가 가능한 자본은 거의 기능자본과 같다. 쓰임이 이중으로 나뉘어져 있는 것뿐이다. 신용제도가 발달하고 사회의 모든 자본이 거의 대부의 성격을 지니게 되면 평균이자율은 자본가들과 대부자들 사이에서 균등화된다. 이자 낳는 자본에서는 화폐가 상품이며, 이자가 가격으로 나타난다. 상품 가격과 마찬가지로 이자율도 고정된 가격을 지니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자율에 비해 이윤율이 모호하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그것은 이자가 확정되려면 이윤이 확정되어야 하며, 이윤이 확정되기 위해서는 산업자본과 상업자본의 순환이 전제되어야 한다. 그런데 사람들은 흔히 처음에 시작된 화폐M이 이자를 얻어 M'가 되는 과정에서 산업자본과 상업자본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지워버린다. 그래서 화폐M이 M'로 증가한 것은 화폐 자체가 자가증식하는 일반적 속성인 것처럼 보이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