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리 이글턴 (1) 썸네일형 리스트형 비극에 대하여 - 테리 이글턴, <우리 시대의 비극론> 중 -횔덜린. "비극은 가작 엄격한 시 형식이며,장식을 완고하게 거부하고, 모든 우연을 오만하게 부인한다."(196) 가장법의 폐지. -비극이 결정되는 것이라면 비극의 주요 인물은 꼭두각시거나 필연과 싸우는 사람일 것이다. 그런데 과연 필연은 전지전능한 신이 ~ 예측하고 계산하는 것일까? (198) 어쨌건 무의미한 반항은 죽음과 맞서 싸우는 하나의 방법이다. 현대는 무의미한 반항을 대단히 좋아한다. 싸우며 죽어가는 것은 공리주의를 최종적으로 거부하는 것으로 우울한 실존적 매력을 지닌다.(199) - 발터 벤야민은 비극이 "악마적 운명"을 파괴한다고 보는데, 왜냐하면 인간은 비각을 겪으면서 자신이 신보다 우월함을 깨닫기 때문이다. 벤야민은 말한다. "도덕적 주인공은 '세계의 도덕적 질서'를 복구하지 않는다. ..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