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라이 클레어, 전혜은.제이 옮김, <망명과 자긍심>, 현실문화
▶ 저자는 퀴어, 망명, 계급의 문제로 자신의 이야기를 풀어나간다. 이 세 가지는 분리되어 있는 듯하면서도 복잡하게 얽혀 있으며, 저자의 신체에 고스란히 그 흔적을 가지고 있다. 여성, 뇌병변 장애인, 다이크, 백인, 성폭력 생존자, 오리건 포트 오포드 출신의 망명자, 계급 노동자로서의 복잡한 '자기'를 스스로 이해하고 글로 옮기는 저자의 적확성과 그 과정에서 경험했을 고통을 표현한다. 이 책은 계급성이 단일한 명명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것을 증명함으로써 단일 쟁점 정치에 반대한다. -손상과 장애의 개념 -손상(impairment)과 장애(disability)를 구분하는 장애 모델을 생각했다. 장애 이론가 마이클 올리버(Michael Oliver)는 손상을 "사지의 일부분이나 전부가 없는, 혹은 사지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