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사적소유국가의기원 (1) 썸네일형 리스트형 『가족, 사적 소유, 국가의 기원』발제 문학적으로 "아버지 살해" 모티프는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 농촌사회로부터 그것은 가정을 통제하고 권한을 행사했던 권위적인 존재가 사라지는 것이다. 아버지의 죽음은 절대적 권위의 상실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사건이자 가족 구성원이 자유롭게 해방되는 계기이다. 또한 장자에게는 아버지의 자리를 차지할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되기도 한다. 아버지가 된다는 것은 가장 '남자다움'과 '부권', 그리고 가족의 부를 세습 받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버지 부재"는 문학에서 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유효한 의미를 지닌다. 전인권은 『남자의 탄생』에서 아버지의 죽음이 아들에게 "가문의 계보에 진입하고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정체성을 획득할 수 있게 되는 계기"라고 설명한다. 여기에는 권력적-신분적 욕망이 짙게 깔려 있는 것이다. .. 이전 1 다음